증권분석
업데이트:
제1장 경기분석
케인즈(John Maynard Keynes) 경기변동 원인
- 케인즈는 경기변동의 주원인을 ‘수요측면에서’ 찾음
-
특히 투자 및 소비지출의 불안정성을 주요 원인으로 판단
- 새고전학파의 실물적 경기변동 이론: 생산성 또는 기술 변화와 같은 공급요인
- 새고전학판의 화폐적 경기변동 이론: 불완전 정보하에 예상치 못한 통화량 변화
- 통화주의자의 주장: 통화공급의 불안정성 (적응적기대를 전제)
- 프리드먼: 불규직적인 통화정책이 경기변동의 원인이라 주장
- 루카스: 불완전한 정보에 의한 실질물가수준 판단오류를 경기변동 원인이라 주장
- 슘페터: 생산요소의 새로운 결합이나 기술혁신, 기술변화와 같은 실물적 충격에서 경기변동 원인을 강조
경기순환 특징 용어정리
- 공행성: 경제변수들이 서로 안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일정한 방향으로 함꼐 움직이는 특성
- 변동성: 경기변수 증가율의 표준편차로 측정하며 이 값의 감소는 경기의 안정성 증가를 의미
- 순환심도: 경기변동을 잘 반영하는 변수를 채택하여 확장기와 수축기에 나타난 변동폭을 계산
-
순환진폭(심도): 정점과 저점 간의 차이 -> 확장국면과 수축국면 변동폭 계산
- 순환주기: 경기 확장기간과 수축기간의 한 주기
- 경기변동 순환주기: 저점에서 정점을 지나 다음 저점까지 기간을 말함
-
경기 확장국면: 경기저점에서 정점까지 기간을 말함
- 기준순환일: 경기의 정점 및 저점이 발생한 구체적 시점 (통계청에서 사후적으로 발표)
- 경기국면: 확장국면과 수축국면 존재
관련공식
- 명목GDP: 현재가격에 생산량을 곱해서 모두 더하면됨
- 실질GDP: 기준연도의 가격에 생산량을 곱하여 더하면 됨 (불변가격에 의한 GDP)
- GDP Deflator: 명목GDP/실질GDP*100
- 통화량변화율(MG) = 물가상승률(PG)+국민소득변화율(YG)-유통속도변화율(VG)
- 유통속도 = 명목GDP/통화량
경기종합지수(CI)
- 광공업생산지수: 경기종합지수에서 동행지수 구성지표에 해당
- 소비자기대지수와 코스피지수 : 선행지수에 해당
- 회사채유통수익률 : 후행지수에 해당
경제지표 변화
- 경제성장률이 낮은 선진국일수록 명목이자율이 낮음
- 광의통화지표는 M2
- 저축예금 및 MMDAsms M1
- 통화량의 변화는 단기적으로 실물부문에 영향을 줌, 장기적으로는 물가부문에 영향
시차와 경기정책
- 내부시차: 충격을 인지하고 정책을 실시할 때까지의 시차
- 외부시차: 정책을 실시한 시점부터 경제에 영향을 미치기까지의 시차
- 통화정책: 내부시차 짧고, 외부시차 길다
- 재정적책: 내부시차 길고, 외부시차 짧다
- 자동안정화장치: 내부시차=0
통화정책 파급경로
- 통화정책 파급경로 세가지: 전통적 금리경로, 자산가격경로, 신용경로
(1) 금리를 통한 통화의 파급경로: 통화량의 증가 -> 금리하락 -> 소비증가, 투자증가 -> 총수요증가
(2) 자산가격 변동에 의한 파급경로:
– 토빈의 q이론: M증가 -> r하락 -> 주식증가 -> q증가 -> 투자증가 -> 소득증가
– 부의효과: M증가 -> r하락 -> 주식,부동산증가 -> 소비증가 -> 소득등가
(3) 신용경로: M증가->국내금리하락 -> 자금해외유출 -> 환율상승 -> 경상수지 개선 -> 총수요증가
경기예측방법
- 독립변수, 종속변수의 관계를 통한 예측이 아닌 과거 시계열의 변동형태에 의존하여 경기 예측
- 경기지표에 의한 경기예측: 경기종합지수(CI), 경기확산지수(DI)
- 설문조사에 의한 경기예측: 기업경기실사지수(BSI), 소비자태도지수(CSI), 경제심리지수(ESI)
- 모형에 의한 경기예측: 시계열모형, 계량경제모형
경기종합지수(CI: Composite Index)
- 경기변동에 민감한 각 부분별 개별지표를 선정하여 이들의 움직임을 종합하여 지수형태로 나타냄
- 경기국면 파악 및 경기수준의 측정에 이용하기위해 종합적인 경기지표
- +일경우 경기상승, -일경우 경기하락 나타냄
- 증감률의 크기에 의해 경기변동의 진폭까지도 알수 있음
- 경기변동의 방향, 국면 및 전환점은 물론 변동속도까지 분석가능
- 구성지수:
– 선행지수: 향후 경기예측
– 동행지수: 현재 경기국면 파악
– 후행지수: 경기변동의 사후 확인
경기동향지수(DI: Diffusion Index)
- 경기동향지수는 경제지표들의 방향성을 측정한 지수로 0과 100 사이 값을 갖음
- 경기국면판단에 유용, but 경기수준을 판단하지는 못함
- 경제통계지표의 변화 방향만을 종합하여 지수화한 경기지표
-
DI = (전월비 상승계열수 + 0.5보합지수표)/선정된 총계열수100
– DI >= 50 : 경기확장국면
– DI = 50 : 경기전환점
– DI <= 50 : 경기수축국면 - 선행종합지수(9개): 구인구직비율, 재고순환지표, 소비자기대지수, 기계류내수출하지수, 건설수주액, KOSPI지수, 장단기금리차, 수출입물가비율, 국제원자재가격지수
- 동행종합지수(7개): 비농림어업취업자수, 광공업생산지수, 건설기성액, 서비스업생산지수, 소매판매액지수, 내수출하지수, 수입액
- 후행종합지수(5개): 상용 근로자수, 생산자제품재고지수, 도시가계소비지출, 소비재수입액, 회사채유통수익률
기업경기실사지수(BSI: Business Survey Index)
- 기업의 활동, 경기동향 등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, 전망, 이에 대비한 계획을 설뭉르 통해 조사함
- 전반적인 경기동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단기적인 경기 예측수단
- 0 < BSI < 100 : 수축국면
- BSI = 100 : 경기전환점(정점 또는 저점)
- 100 < BSI < 200 : 확장국면
소비자태도지수(CSI: Consumer Sentiment Index)
- 소비자의 구매의도나 구매태도 및 전망을 설문조사하여 지수화한 것
- 0 < CSI < 100 : 수축국면
- CSI = 100 : 경기전환점(정점 또는 저점)
- 100 < CSI < 200 : 확장국면
제2장 증권분석
증권분석
- 기본적분석: 기업의 제무제표, 산업요인, 경제요인 등을 분석하여 그 주식의 본질가치를 산출하여 실제 주가와 비교
- 기술적분석: 심리적 요인을 파악함
기본적분석 한계
- 일반적으로 기업의 진정한 가치 파악소요기간 매우 김
- 기업마다 회계처리기준 다름
- 투자자마다 견해가 달라 주식의 내재가치가 다양하게 산출
기술적분석 한계
- 과거 패턴이 미래에도 반복된다는 가정
하향식(Top-Down)방식
- 경제분석: 국내외 경제동향 분석, 금융시장 동향, 경기전망
- 산업분석: 산업경쟁력 및 업종 동향 파악
- 기업분석: 질적 양적 분석 및 상대가치 분석, 절대가치모형
재무제표
- 현재 기업의 모든 재산을 파악하기 위해 차변에는 자산운용 상황이 표시되며 대변에는 자본조달상황이 나타남
- 손익계산서는 일정기간 동안 기업의 경영활동을 평가하기 위해 작성됨(당기순이익만으로 영엽활동 평가 바람직하지 않음)
- 현금흐름표는 기업의 자금조달 및 운용 상황을 보기위해 작성됨
- 원칙적으로 주권상장기업은 K-IFRS기준으로 회계처리함
안정성 분석
- 유동비율: 기업이 1년 이내 상환해야 할 유동 부채에 대한 지급능력을 나타낸 지표 (유동자산/유동부채)*100%
- 부채비율: 타인자본과 자기자본에 대한 비율을 측정 (부채/자본)*100%
- 비유동비율: 자기자본이 비유동자산에 얼마나 투입되었는지 적절성 평가 측정 지표 (비유동자산/자본)*100%
- 이자보상비율: 영업활동을 통한 수익으로 이자비용을 지불할수 있는 능력 (영업이익/이자비용)*100%
총자산이익률(ROA)
- 수익성 지표 중의 하나임
- 재무상태와 손익계산서 항목으로 계산 가능
- 총자산회전율을 매출액순이익률로 곱하여 계산됨
- ROA=매출액순이익*총자산회전율
주가수익가치비율(PER)
- 주가/주당순이익
- 기업의 시장가치와 순이익 사이관계를 알수 있음
자기자본이익률(ROE)
- 현재 주가가 주당순이익 대비 몇 배인가를 의미
주가장부가치비율(Price Book Value Raito)
- 기업의 PER가 동업종대비 또는 과거 평균대비 낮을 때 저평가된 것으로 판단
Tobin’s q
- Tobin’s 는 기업 부채 및 자기자본의 사장가치를 보유자산의 대체비용으로 나눈 비율(자산의 시장가치/추정대체비용)
- 1보다 작으면 기업이 저평가 되어있으므로 M&A 대상
- q>1:신규투자 / q=1:대체투자 / q<1:M&A
배당
- 배당성향이란 당해 순이익에서 현금배당금이 차지하는 비율
- 통상적으로 성장하는 기업의 경우 배당수익률 낮음
- 배당수익률은 주식의 시장가치 대비 배당금액이 차지하는 비율
- 과거우리나라 배당률 10% 의미: 액면금액 대비 10%를 배당으로 지급한다는 것을 의미(현재는 시가배당률(배당수익률)로 공시)
항상성장모형
- 요구수익률은 일정
- 사내유보율과 배당성향은 일정
- 요구수익률은 성장률보다 큼
- 성장에 필요한 자금은 내부자금으로만 조달
기업가치평가방법
- EV/EBITDA 비율은 기업의 내재가치와 기업가치를 비교하는 투자지표
- EV(Enterprice Value) 측정 시 시가총액 순차입금을 더해 계산됨
- EBITDA는 세전영업이익에 비현금비용을 합한 세전영업현금 흐름을 의미
- PER분석에 의한 가치측정 시 미래주당순이익을 추정하여 여기에 정상적 PER를 곱하여 계산됨
제3장 기술적분석
기술적 분석
- 내재가치를 무시하고, 시장변동에 비중을 둠
- 기본적 분석의 한계를 보완
- 주가와 거래량의 과거흐름을 분석하여 주가를 예측
※ 기본적분석 vs 기술적분석
구분 | 기본적분석 | 기술적분석 |
---|---|---|
분석대상 | 경제요인, 산업요인 및 기업의 재무제표 | 주가와 거래량의 과거흐름 |
목 적 | 내재가치(본질가치) 계산 | 미래의 가격흐름을 예측 |
용 도 | 매매종목의 선정 | 매매시점의 파악 |
일본식차트
- 시가와 종가위치가 몸체를 결정 / 고가와 저가가 꼬리를 결정하여 일자별로 그림을 그림
- 시가, 고가, 저가, 종가 모두 표시
- 기간기준으로 매일로 하면 일봉, 주 단위면 주봉, 월 단위 기준이면 월봉
– 양선: 당일 시가 < 당일 종가
– 음선: 당일 시가 > 당일 종가
– 십자형(Doji): 시가 = 종가
미국식차트
- 시간의 변화에 따라 봉을 그림
- X축은 시간의 변화 / Y축은 주가수준을 표시
- 차트를 그릴떄 종가, 고가, 저가만 표시
다우이론
- 강세국면과 약세국면으로 구분되고, 다시 3국면으로 구분됨
- 강세국면(매집국면: 1국면): 상승 초기로 일반투자자와 전문타자자 간 반대의 매매패턴을 보이는 국면, 일반투자자는 매도 하지만 전문투자자는 일반투자자들의 실망매물을 점차 매집(거래량 회복)
- 강세국면(상승국면: 2국면): 본격적 호황국면으로 투자심리 개선으로 인한 주가및 거래량 상승
- 강세국면(과열국면: 3국면): 경제호조로 유상증자가 많고 거래량이 급증하여 지나친 주가의 상승, 초보 투자자가 시장에 참여하면 적극 매입에 나서는 단계
- 약세국면(분산국면: 1국면): 전문투자자들이 주식을 점진적으로 처분하며 추세선의 기울기가 점점 완화되면서 주가의 조그만 하락도 거래량의 증가로 이어지는 현상
- 약세국면(공포국면: 2국면): 일반투자자의 매입세력이 크게 위축되고 매도세력이 늘면서 주가하락, 경제지표가 불리하게 됨에 따라 거래량이 크게 줄어들고 주가도 급락
- 약세국면(침체국면: 3국면): 일반투자자들의 투매현상으로 주가는 계쏙 하락하지만 주가의 낙폭은 점점 작아지고 일부 전문투자자들은 분할 매수가 이루어지는 국면
앨리엇파동이론
충격파동
- 전체적인 시장움직임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파동
- 1번, 3번, 5번, a, c파동으로 구성 -> 5개 파동으로 이루어짐(3번파동이 가장 길며 거래량도 최고)
조정파동
- 충격파동의 움직임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
- 2번, 4번, b파동으로 구성 -> 3개 파동으로 구성
사께다전법
구분 | 내용 |
---|---|
삼산 | - 산모양을 세 번 보이고 난 후 더이상 상승을 못하는 대표적인 반전 패턴 - 지속적인 주가 상승 이후 주식을 사고자하는 매수세는 유입되지만 더이상 상승하지 못하는 경우 - 헤드앤숄더형과 유사 |
삼천 | - 삼산을 거꾸로 만든 모양으로 하락 추세에서 상승 추세로 전환할떄 종종 발생 - 역헤드앤숄더와 유사 - 거래량은 왼쪽 어깨 머리 오른쪽 어깨로 갈수록 점점 증가 |
삼병 | - 동일한 캔들이 연속적으로 출연 - 적삼병: 양봉이 세개를 보이는 것으로 바닥권에서 주가 하락이 멈추고 상승(상승예고) - 흑삼병: 음봉이 세개를 보이는것으로 주가 상승이 멈추고 하락 반전(하락예고) |
삼법 | - 추세구간에서 세가지 움직임에서 추세와는 역행하는 중간의 움직임으로 직전 저점 붕괴 시는 매도하지만, 직전 저가 무너지기 전까지는 관망 - 쉬는것도 투자다 라는 주식 격언처럼 주가방향을 기다리며 일정 기간 휴식 필요 |
삼공 | - 주가가 상당기간 상승하는 데 있어 인기가 과열되어 공간을 연속적으로 만드는 것 - 거래량은 1공에서 부터 증가하여 2공에서 더욱 증가, 3공에서 대량거래를 수반 |
주가이동평균선(Moving Average)
- 매일의 주가 움직임을 보면 추세파악이 어려워 일정기간(5일,20일, 60일, 120일 등)을 이동평균한 가격을 연결한 선
- 주가의 추세를 파악
- 강세장에서는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에서 파동 운동을 하면서 상승
- 이동평균의 기간이 길명 길수록 이동평균선은 더욱 유연하게 나타남
- 주가가 이동평균선과 지나치게 멀리 있으면 회귀변화가 일어남
-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 이동평균선을 하향돌파할 때는 조만간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큼
주가이동평균선 계산
- 당일 포함하여 n일을 이동평균하는데 만약 금일(t)의 5일 이동평균선인 경우 금일을 포함하여 과거 5일간을 산술평균하여 계산
- 5일 이동평균선: 1주일 동안의 평균 매매 가격으로 단기매매선, 보통 생명선이라 부름
- 20일 이동평균선: 1개월간 평규규매매가격으로 중기매매선, 보통 추세선이라 부름
- 60일 이동평균선: 3개월간의 평균매매가격으로 중기적 추세선, 수급선이라 부름
- 120일 이동평균선: 6개월간의 평균매매가격으로 장기적 추세선, 경기선이라 부름’
캔들차트(CandleStick Chart)
구분 | 관련 도표 |
---|---|
상승신호 | 해머형, 역전된해머형, 상승샅바형, 상승장악형, 상승잉태형, 관통형, 상승반격형, 샛별형, 하락쐐기형 |
하락신호 | 행잉맨형, 유성형, 하락샅바형, 하락장악형, 하락잉태형, 먹구름형, 하락반격형, 석별형, 까마귀형, 상승쐐기형 |
- 한개의 캔들: 우산형(해머형,망치형), 십자형, 샅바형 등
- 두개의 캔들: 장악형, 잉태형 등
- 세개의 캔들: 별형
전환형 패턴과 지속형 패턴 비교
구분 | 관련 패턴 |
---|---|
전환형패턴 | 삼봉천장형, 삼봉바닥형, 원형바닥형, 원형천장형, 확대형 |
지속형패턴 | 삼각형 패턴(대칭삼각형, 직각삼각형, 역삼각형), 쐐기형, 깃대형, 다이아몬드형 |